본문으로 바로가기
현대중공업
검색어 입력
블로그 메뉴 카테고리
전체메뉴
(1201)
공지사항
(36)
BUSINESS
(388)
HHI뉴스
(177)
HHI INSIDE
(123)
그룹사소식
(88)
PEOPLE
(214)
HHI 사람들
(149)
인재 채용
(65)
TOGETHER
(231)
사회공헌
(98)
메세나
(81)
스포츠
(52)
LIFE
(332)
나들이
(165)
생활정보
(167)
공지사항
‘도전과 혁신’으로 미래를 열어갑시다!
조선업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갑시다
현재위치
총 10 건
나들이
검색방법 선택
제목
내용
제목+내용
검색어 입력
검색
대왕암공원에 펼쳐진 첨단 기술과 자연의 조화
울산시립미술관이 지난 1월 중구 북정동 일원에 개관했어요. 미술관 개관 기념으로 동구 대왕암공원 내에 위치한 구(舊) 울산교육연수원에서 특별한 전시가 진행되고 있죠. 전시는 미디어아트 장르의 미래 미술관을 지향하며 개관 준비 동안 수집한 국내·외 유명작가들의 작품과 울산시립미술관의 중점사업 중 하나인 신진
2022-03-29
전철 타고 떠나는 부산 여행
울산-부산 이동 빨라졌다! 태화강역은 1921년 10월 울산역이란 이름으로 시작해 여러차례 위치를 옮기며 울산 남구 삼산동에 자리를 잡았어요. 2010년에는 고속철도 시대를 맞아 KTX전용역사인 울산역에게 자신의 이름을 넘겨주고, 태화강역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발했죠. 지난해 3월에는 30여년의 오랜 세월을 함께
2022-03-08
호계역, 100년 만의 이별
추억 서린 호계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모든 것들의 마지막 순간은 눈에 밟히죠. 함께한 시간이 100년이라면 이별의 무게감을 말해 뭐할까. 호계역이 사라진다는 건 역사 앞마당에 있는 정자와 그늘을 내주던 나무와의 이별이며, 호계 주변에서 이곳의 위치를 알려주던 표지판과도 이별이에요. 앞으로 폐역이 된 이곳에 역사
2022-01-21
새 생명 꽃 피운 도심 속 수목원을 거닐다
치유의 숲 개방… 2025년 완공 부산 석대동 24번지 일원에 위치한 해운대 수목원은 2010년 조성계획 수립 이후 2017년 5월 1단계 구역 공사를 완료, 2025년 완공 목표로 국내 최대 규모(약 62만8천275제곱미터(약 19만평))의 친환경 해운대수목원으로 조성 중이에요. 공사가 완료된 1단계 구
2021-09-03
출렁다리 너머 수려한 절경에 ‘짜릿’
동구의 사면(四面)을 볼 수 있는 바다 위의 전망대 대왕암공원 출렁다리는 길이 303미터, 폭 1.5미터로 북측해안산책로의 돌출된 해안지형인 ‘햇개비’와 ‘수루방’을 이어요. 이 구간은 100년이 넘은 해송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어 동구 최고의 절경으로 손꼽히는 곳이죠. 대왕
2021-08-26
하늘과 바다 사이를 짜릿하게 가로지르다
창원 짚트렉이 있는 진해해양공원은 음지도라는 작은 섬에 조성한 공원으로, 음지교라는 다리를 통해 육지와 연결돼요. 이곳은 랜드마크 솔라타워를 비롯해 어류생태학습관과 해전사체험관, 해양생물 테마파크 등 다양한 볼거리가 많아 가족 나들이로 좋은 장소죠.
2021-05-21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 개관
탄탄한 산업 기반과 첨단 연구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산업 수도 울산은 KTX와 SRT가 오가는 기차역과 울산공항, 고속도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교통 편의성을 갖추고 있어요.
2021-05-20
‘조선업 1번지’ 100년 역사 한눈에
바다 근처 골목길을 돌고 돌면 아담한 건물 2채(연면적 227㎡)가 자리 잡고 있어요. 이곳의 소박한 정서를 쏙 닮은 방어진박물관은 울산 동구가 추진한 방어진항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돼 지난 4월 8일(목) 문을 열었어요.
2021-05-07
하늘과 바다 사이, 알록달록 낭만 열차
원래 해운대 미포에서 청사포, 송정으로 이어지는 바닷가에는 바다를 따라 달리는 ‘동해남부선’이라는 근사한 기찻길이 있었죠. 그런데 새로운 기찻길이 생기면서 이 구간은 폐선 철로가 되었고, 오랜 기다림 끝에 드디어 ‘해운대 블루라인 파크’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재탄생했어요.
2021-04-19
겸재 정선의 그림 속으로 떠나볼까
겸재가 반한 명산의 절경 겸재 정선은 1733년에서 1735년까지 청하 현감을 지내면서 청하 고을의 ‘청하읍성도’와 내연산의 비경을 담은 ‘내연삼용추’, ‘내연산폭포도’, ‘고사의송관란도’ 등의 진경산수화 작품을 남겨 놓았어요.
2021-04-02
맨 처음으로
이전블록
1
2
3
4
5
6
7
8
9
10
다음블록
맨 마지막으로